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대구여행) 대구 시내의 휴식처 수성유원지

선 돌 2011. 7. 22. 11:07

 

 

 

 

 

                   낮과 밤이 다른 수성유원지

 

                대구시내에 있는 유원지로는 동촌유원지와 수성유원지가

                  주변환경이 비슷한 면이 있다.             

                   동촌에는 금호강이 흐르고, 수성에는 수성못이 있어 물에서 즐기는

                 레저 또한 유사한 면이 있다. 물론 금호강은 흐르는 물이고 수성못은

                 그렇지 않을 것이기에 수질관리에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번 여행은 밤에 들렀기에 낮의 풍경은 작년에 찍은 사진임을 말씀드립니다.

                   연못의 물은 잔잔하기만 하고 멀리 오리배가 열을 지어 대기중 입니다. 

 

                           못 주위 산책을 하는사람들.  수성못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휴식처와 운동장소를 제공합니다.             

 

                     나무 밑의 잔디밭에는 또다른 방법으로 여유로움을 보여줍니다. 비둘기들과 같이 있는 것이

                   모이를 주는 것 같지는 않고, 무얼 관찰하지요?

 

                             대구의 위대한 민족 저항시인 이상화가  절규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의 시가 새겨진 

                    바위가 우뚝서 있어 그 발자취를 수성못 둑 공원 에서도 볼 수 있다. 상화시비는 달성공원에 있는데,

                    이상화 시인은 대구시민이 사랑하고, 상화시인이 있었다는 것 자체를 긍지로 느끼는 듯하다. 

 

                        수성못은 돌에 새겨진 시처럼 슬픈역사를 가지고 있다.

 

                        경상도지리지에 의하면 수성 못은 세종 때의 대구군 에는 4개의 큰 수리지(水利地)가 있다고

                    하는데 그 중 둔동제(屯洞堤)라 불리는 것이 지금의 수성 못이다.

                        일제하에 지금의 경상감영 주변과 동성로일대는 일인들의 주도하에 주거지와 상권을 형성하였고, 온갖

                    수탈로 우리민족은 고통을 받았다. 당시 일제치하에 일본인은 전부 착취와 노략질만 하는 나쁜

                    사람들이라 인식했는데, 1914년 미즈사키린따로 (水崎林太郞)라는 일본사람이 가뭄과 홍수에 고통

                    받는 이곳 농민을 위하여 일제(日帝)의 지원을 받고 거액의 사재(私財)를 희사해서 10년의 공사 끝에

                   완공, 유서 깊은 수성못이되었다.

                        이렇게 일본인 중 群鷄一鶴 처럼 이 곳에 사랑과 우정을 심어 놓은건지, 아님 일제가 영원히 한국을

                   지배했을 거라고 생각했는지는 몰라도 1939년 72세로 타계할 때 유언으로 수성 못이 보이는 곳에 묻어

                   달라했기에 못 남쪽 음달 언덕에  묻혀 수성 못을 바라보며 한일 친선교류의 상징이 되고  있어, 요즘도

                   묘 앞에 꽃 한 송이를 놓고 가는 사람이 있다 한다.

 

                           분수쇼를 할 때 편하게 관람할 수있는 장소입니다.

 

                           멀리는 앞산이 보이는데 이곳이 행정구역상 수성구로 되기 전 달성군이었으며, 등산 마니아들은

                    저 앞산에서 현풍에 있는 비슬산까지 종주한다고 한다.(약 7~8시간 소요)

 

                                                                        못 주변에는 비행기카페(?)도 보이고

 

                                                                                로켓트 형상의 시설물도 있습니다.

 

                        지금은 콘크리트 벽과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아파트촌으로 변한 주변일대, 개발이전에는  농업용수를

                 조달하고 농사를 짓어 어머님처럼 먹여 살리는 대구시민의 젓줄이었겠지요.  

 

                                             못 건너 우뚝솟은 주상복합 빌딩,아파트에 둘러 싸인 이 곳은 이젠 피로에

                                    젖은 시민의 릴랙세이션(Relaxation)을  위한 장소로 변모하였습니다.

 

                                 수성유원지 가까이에는 들안길의 먹거리촌이 있어 다양한 음식을 즐길 수도 있습니다.        

 

                                  오리배들도 밤이 되어 잠을 자려는 듯 .......

 

                              수성못 건너 콘크리트 벽의 빌딩들은 불을 밝혀 어둠 속에서도 존재를 표시합니다.

 

                  벌써 분수대에서는 분수와 레이져쇼를 시작했군요.

 

              새들이 群舞를 추듯, 날아가는 건지... 

      

                     밤의 음악분수쇼와 불꽃놀이는 환상적이어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즐기고 있습니다.

                                                                      

                                                         영상 분수소개

                   

                                  시설 : 워터스크린(40m×20m), 고사분수, 음악분수, 빔프로젝트,레이저빔, 음향시스템,

                                     조명시스템 등

                 

                                                               운영시간   (5월 1일 ~ 10월 15일)

                                                   5, 8, 9, 10월

                                                                       주간 : 13:00, 17:00 (2회, 각40분간)

                                                                       야간 : 20:00, 21:00 (2회, 각30분간)

                                                               6, 7월

                                                                                         주간 : 13:00, 17:00 (2회, 각40분간)

                                                                                         야간 : 20:30, 21:30 (2회, 각30분간)

                       

                                                   ◎ 매주 월요일 정기휴무 : 기계점검, 정비

          

                                                                                           위    치  :  대구시 수성구 상동 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