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거제여행) 6·25 전쟁/비극적인 참상의 산 교육장 거제포로수용소

선 돌 2011. 8. 28. 06:05

 

 

 

 

 

          이념대결의 폐해, 그리고 전쟁의 비극적인 참상을

          알리는 산교육장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지난 6월25일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을 돌아보고 다시는 이런 비극을

            불러오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우리 자신이 정신적으로나,

            군사적으로 강해져야 하며 후손들은 우리의 아버님,어머님,형님들이  겪었던

            비참한 역사를 다시는 불러오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또한그분들의 노력으로

            이뤄낸 경제건설의 성과도 헛수고가 되지 않토록 하여 세계속에 대한민국이

                  우뚝 서도록 정진해야 할 것입니다..          

                                  

                      1983년 12월 20일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99호로 지정되었고, 6·25 전쟁의

                 참상을 알리는 민족역사교육 장소인 포로수용소. 

                 1950년 9월 15일의 인천상륙작전으로 많은 포로가 생겨 부산·경북 등지에 분리 수용했으나

                 시설이 부족하여 1950년 11월 27일 거제도 고현·수월·양정·상동·용산· 해명·저산 지구를

                중심으로 360만 평에 포로수용소를 설치했습니다.

 

                이 시설에 인민군 15만, 중공군 2만, 여자 포로와 의용군 3천 명 등 최대 17만 3천 명을

                수용했고, 그당시 거제에는 주민 10만명, 피난민 약 15만명, 포로 17만명등                 

                약 42만여 명이 거주 했다고 합니다.

 

                수용소 안의 포로 가운데 반공포로와 공산포로 간의 반목이 극심했다.

                                     

                        매표소를 통과하면 바로 탱크 전시관이 나오는데, 6.25 전쟁 당시 인민군이 남침하며

                  선봉의 주력 무기인 소련제 탱크 T-34 을 본딴 모형입니다.

                                 

 

                         탱크 전시관 벽에는 스탈린,모택동,김일성 등 6.25 동란의 원흉들의 얼굴이 보이고...

 

                      디오라마관에는 포로수용소의 생활상,수용소시설 등 전반적인 사항를

                 볼수 있는 전시물이 있다.

                                                                               

 

                               수용소 막사인 천막시설, 변소, 건조대 등 생활상을 볼 수 있었다. 

                                          

                      전쟁 당시의 수용시설이 있던 거제도의 전경입니다.

                           

                      소련제 탱크를 몰고 남침하는 인민군.      

                     

                      진지안에서 방어하는 국군.

                      

 

                             6.25 전쟁발발, 낙동강 전선에서의 방어,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 중공군개입,

                     휴전협상 및 정전 상황이 도표로 전시되어 있습니다.

                                       

                    중공군의 개입으로 1.4.후퇴시,무너진 평양 대동강의 다리를 재현,

                무너진 다리를 통해 남으로 남으로 피난을 오는 피난민들,

                 괜시리 눈시울이 붉어질려고 하는군요.

                                 

      

                        1951년의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모습과 1980년, 그리고 현재의 모습입니다.

                수용소의 천막, 그로부터 변한 주택지, 그리고 현재의 아파트 단지모습.

                이 모습을 보고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표현이 적절한지 모르겠습니다.

 

 

      

 

 

                          막사안을 체험식 둘러보기를 만들어 놓았는데 그저 돌담밖에는...

                        

 

      

                       인민군 포로를 생포하는 장면 이네요.

                         

                      LSD 로 포로들을 수송하는 모습.

                 

                            포로의 모습이 되어보는 기념촬영 장소.

                      해피송은 나더러 포로가 되라고 한다.

                           해서 포로가 되어 보기도 하였어요.

                                     

                    6·25전쟁 당시 거제도에는 13만 2000명을 수용한 국제연합군측 최대 규모의

                   포로수용소가 있었다. 이들은 반공(反共)포로와 공산포로로 나누어 대립하였는데,

                   분열의 원인은 1949년 제네바협정에 따른 포로 자동송환이 아닌 자유송환을

                   국제연합군측이 주장하면서부터였다.

 

                  제76포로수용소의 공산포로들은 수용소장인 준장 F.T.도드를 납치하고 그 석방 조건으로

                  포로들에 대한 처우개선, 자유의사에 의한 포로 송환방침 철회, 포로의 심사중지,

                 포로의 대표위원단 인정 등을  제시하였지만 이들은 미군의 심사를 거부하고 대립하다

                 미군이 발포하자 70여 명이 죽고 140여 명이 부상 당하였다.

                 미군과 반공포로, 공산포로들이 맞부딪힌 가운데 난동 포로 50여 명이 살해되었다.

               

               공산포로들은 그들에 대한 고문·폭행·학대 등을 거부하며 평양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그해 6월 20일을 기하여 전 포로수용소에서 일제히 봉기하여 반란을 일으킬 계획을 세우고,

               장군 M.리지웨이의 뒤를 이어 새로 국제연합군 사령관으로 임명된 대장 M.W.클라크는

              이와 같은 사건을 막기 위하여 포로의 분산 수용을 결정하 고 준장 H.L.보트너를

                      포로수용소장으로 임명하였다.

               보트너는 1952년 6월 10일부터 포로를 분산 수용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105명의

              반공포로들이 공산포로들에 의하 여 살해된 사실이 드러났다고...

                               

      

                      폭동장면과  유엔군 포로수용소장인 돗트준장을 납치한 장면을 표현함.

 

 

                       포로수용소 내에서도 이념대결이 벌어져 공산포로, 반공포로로

                   갈려 있어 설득작업을 많이 했군요.

                                

      

 

 

      

 

                           수용소의 생활상이 인형으로 재현되어 당시의 모습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다. 

                                 

                           포로들의 막사인 천막시설.

 

                          취사장 건물과 용변을 보는 포로의 모습,

                               

                            통에 물을 받아 목욕하는 모습과 미군의 감시하에 사역하는 모습이군요.

 

 

 

      

                          수용소의 경비대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건물의 잔해입니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강대국에 둘러싸인 블리한 여건과 수많은 外侵의 비극적인 

                역사를 가진  참으로 운이 없는 나라, 그리고 이 땅에 대한민국의 국민으로 태어난 우린

                불운의 멍애을 선천적으로 짊어지고 태어났는지 모릅니다.

                현재도 좁은 국토에 둘로 갈라져 남과 북은 총부리를 겨누고 있는 상태이며, 남남갈등이란

                단어를 만들어 낸 첨예한 이념대립 또한 정치와 노동현장 등에서 국민들을 편가름하여

               온나라를 조용하게 할 날이 없습니다.

               이제는 제발 온 국민이 일치 단결하여 세계속에서 경쟁하는 데에 온갖 역량을 쏟아 부을수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하고, 이 포로수용소에서 볼 수있는 이념의갈등 ,대결이 불러오는 

              비참한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토록하는 산 교육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여행정보: 경남 거제시 장평리,수월리 및 신현읍 양정리,고현리

                                 홈페이지:   http://www.geojeimc.or.kr/pow/

           

            ◎ 거제도의 또 다른 여행기:                 

      (거제여행) 聖雄 이순신장군의 발자취,옥포대첩기념공원: http://blog.daum.net/ykp702/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