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부산여행]아름다운 경치속에 100여년 된 일제의 잔재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가덕도

선 돌 2011. 11. 28. 19:30

 

 

              아름다운 경치속에 100 여년 된 일제의

                  잔재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가덕도

 

                    세계적인 규모와 기술로 건설된 거가대교가 완공된 이 후, 많은 교통량

               증가로 해변의 경치가 아름다워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는 가덕도.

 

                   하지만 가덕도의 역사는 가슴아프고 슬픈역사로 점철되어 구경하면서도

                가슴속 깊은 곳에서 치밀어 오르는 무언가가 있어......  

 

 

              멀리는 조선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에 가덕도 근해에서 원균이 왜의 수군과 벌인 전투.

           통제사 원균이 왜군의 해로(海路)를 끊기 위하여 전선(戰船) 90여 척을 이끌고 가덕도에 이르렀다가

           적장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에게 기습을 받고 패하였고,

 

              가까이는 일본군의 대륙진출의 전초기지로서의 역활을 한 그 잔재가 아직도 생생하게 남아 있습니다. 

 

                천성항에서 배를 타고 외양포 마을에 도착하니, 이 곳에도 많은 관광객들이 오는지,

           민박집이 있고, 오랜 고목이 한 그루 멋스러움을 자랑하는 듯 합니다. 

 

               그러나 이 곳의 주민들이 사는 집들은 낡고, 곧 허물어 질 듯 하여 측은한 마음까지 듭니다.

             100여년 된 일본군 막사와 부대의 무기창고 등이 그 모습 그대로, 수리도 하지 못하며 살고

             있다고 합니다. (국유지의 군사지역 또는 그린벨트 내에서 겪는 불편함)  

 

               지붕색깔이 파란색, 초록색으로 단장하여 멀리서 보면

                운치도 있고 하나 아랫부분을 보면 아니지요. 

 

 

 

                 애견을 기를 것 같지 않은 마을!

               상근이 처럼 생긴 녀석이 우릴 잔뜩 경계하는 듯, 아마도 많은 사람을 겪은 듯....  

 

                 벽을 타고 올라간 담장이 지는 가을을 보이고 있네요,

 

                    고개를 돌려 해변을 내려다보는 순간,

                 아름다운 풍경에 연신 셧터를 눌러 봅니다.

 

                그러나 좀더 마을 안쪽으로 들어가 오른편으로 가니,  일본군의 " 사령부 발상지지 " 라 암각된

             표지석이 있고 그 뒤로 벙커와 포대진지가 보입니다.

 

                마을에서는 보이지 않던 벙커...

                 

               벙커는 콘크리트로 견고하게 구축되고, 그 위에 나무를 심어 완벽한 은페,엄페되며

            해상에서는 물론 공중에서도 식별하기가 곤란할 것 같습니다. 물론 요즘처럼 위성으로

            감시하고 GPS System 이 발달된 지금은 아무 소용이 없겠지만요.

 

 

             벙커로 들어가는 출입구가 보이는데 전 어두워 들어갈 수가 없었습니다. 이 곳에서 러시아의

           발틱함대를 기다리며, 발톱을 감춘 고양이처럼 납짝 업드린 일본군의 모습을 상상하니, 기분이

           묘해집니다.

 

             가덕도에는 진해의 해군기지를 건설하기 전 일본군의 군사시설이 곳곳에 있어,

           동굴같은 것이 있고 지금은 어민들이 창고로 쓰는 곳도 있습니다. 

 

                일본군이 사용하던 우물. 우리나라의 우물처럼 뚜겅을 덮어논 것이 아니고, 지붕을

             만들어 놓았군요.

 

                지금은 호스가 늘어져 있어 펌프로 물을 끌어올려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마을 바닷가 풍경은 아름다운 풍경으로 자꾸 눈을 돌리게 만들며,

                       셧터를 누르게 한답니다.

 

                  까치밥만 남겨논 감나무도 가는 가을의 아쉬움을 보여주네요. 

 

 

              11월의 초순(6일)이면 겨울로 가는 길인데 아직도 호박꽃이 한송이 피어있더군요,

 

                  동백은 제철을 만난 듯 꽃을 피웁니다.

                    아마도 맨 처음으로 피어나는곳이 아닐런지요...

 

                                      

               앞에 보이는 섬은 대죽도이며, 저 바다속에 거가대교와 연결되는 침매터널이 설치되어

            있고, 멀리 섬 넘어로 거제도와 중죽도를 연결한 거가대교가 어렴픗이 보입니다.

 

               마을 주변의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 연신 카메라에 담아 보았습니다.

 

             사진에 대한 조예는 별로 없지만, 이 곳 경치는 암울한 일본군 침략의 역사를

           묻어 버릴만큼 빼어난 풍경을 자랑 하였답니다.

 

 

               외양포에서 대암 새바지로 넘어가는 길.

 

                  가덕도의 매력은

               첫째, 낚시광들이 반할 정도로 갯바위 낚시를 많이 즐기고 있고,

               둘째, 해변가의 경치가 너무 아름다워 사진마니아들이 와도 후회하지 않을 듯 하며,

               세째, 제주도 올레길처럼 등산과 보행을 겸하는 (사)부산관광콘벤션뷰가 추천하는

                     갈맷길을 걸으며 해변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끽할 수 있을 듯 하고,

               네째, 관광지로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100년 역사의 가덕도 등대가 원형을 거의 보존하고

                     있고, 자생 동백군, 대원군 척화비 등과 연대봉 정상에서 내려다 보는 사방의 풍경도

                    만족 할 만 할 것으로  생각되는군요.

 

                              위   치  :  부산광역시 천가동 가덕도 외양포마을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