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경주) 평온하게 울리는 범종소리를 들으며 다향을 느껴본다.함월산 기림사

선 돌 2012. 3. 30. 11:14

 

 

 

                  평온하게 울리는 범종소리를 들으며 다향을

                  느껴본다.함월산 기림사

 

                          1500년 전 선덕여왕 때 천축국 승려 광유가 창건하고 원효대사가

                       확장한 신라의  함월산 기림사는 유서깊은 역사와 많은 유물

                       이 있는 경주의 천년고찰입니다. 예전에는 불국사를 비롯한 수많은

                       사찰을 말사로 거느렸으나, 현재는 불국사의 말사입니다.

 

 

                         진남루는 ‘남방을 진압한다’는 뜻으로 남방은 왜를 가리키는데, 임진왜란

                      당시 기림사는 전략요충지로서 경주지역 의병과 승병 활동의 중심 사원으로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았다고 힙니다.

                          진남루의 기능이나 용도및 건축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나, 진남루란 이름은

                      사적기에 의하면 "무량수전야차유진남루"라 하여 위치에 대한 언급만 있을 뿐

                      이다. 임란때 수군과 승병의 활동의 근거지로 활용되면서 붙여진 이름이 아닌가

                      추측합니다.

  

                        높이 3m쯤 되는 아담한 고려 3층석탑은 경북문화재 제205호 입니다.

                     배흘림 양식으로 세워진 탑은 처마 끝은 살짝 들리어 가뿐한 느낌을 주고,

                    위로 갈수록 줄어들었다.

 

                         응진전의 오백나한상.

 

 

                        기림사 본전건물인 대적광전에 모셔진 소조비로자나 삼존불은 보물

                    제 958호이며 조선 초기 불상의 전형을 갖추고 있습니다.

 

                         기림사의 본전인 보물 415호 대적광전은  천 년이 넘는 세월동안

                     빛이 바랬지만 원형으로 테를 두르거나 테두리 없이 격자로 정교하게

                     짠 꽃살문이 특이한 건물입니다.

 

 

                          1600년대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약사전.

                         일반적으로 측면에 출입문을 두는 것이 통례이나

                         배면에 문을 둔 것이 이색적이다.

 

                           관음전.

 

                           대적광전을 마주보고 좌측계단에 오르면 삼천불전이 있다. 말 그대로

                       삼천 개의 하얀 불상이 본존불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데 한 눈에 들어오기

                       힘들만큼 웅장하다. 가까이서 보니 표정도 제 각각이다.

 

 

 

                         범종루.

 

                         매월당 영당.

                         생육신의 한 사람인 매월당 김시습의 영정을 모신곳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를 저술하기도 하였다.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영정. 

 

 

                          기림사의 유물전시관.

 

                                            기림사 건칠보살좌상 (보물제 415호)

                                            진흙으로 속을 만들어 삼베로 감고 종이를 바르고 옻칠을 하고

                                          다시 금을 입힌 관세음보살반가상으로 조선조 연산군 7년(1501년)

                                          에 조성된 우리나라 유일의 보물. 

 

 

 

                           납석제여래좌상  (조선시대)                

 

                                               세존응암명화막새기와(1930년)

 

 

 

                         위  치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419번지

                                    함월산 기림사.

                         전  화 : 054) 744 - 2292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