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경주) 나지막한 토담으로 이어진 정감어린 풍경의 양동마을

선 돌 2012. 3. 31. 00:00

 

                  나지막한 토담으로 이어져 언제보아도 정감이

                 가는 양동마울

 

                           이번 양동마을 방문은 2010년 8월,2011년11월에 이어 3번째인데

                       올 때마다 느끼는 건 우리한옥은 정으로 이어진 소통형 구조로 이웃

                       간에 벽을 쌓고 사는 도심의 삶보다는 인간적이고, 발을 내딛으면

                       흙을 밟을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부러운 지 모릅니다.

                                양동마을은 1984년 12월 20일 마을 전체가 국가지정문화제

                      (중요민속자료 제189호)로 지정되었고, 2010년 6월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양동마을은 경주시 북쪽 설창산에 둘러싸여 있는 경주손씨와 여강이씨

                      종가가 500여년 동안 전통을 잇는 유서 깊은 반촌 마을입니다.

        

                         마을은 경주시에서 동북방으로 20km쯤 떨어져 있으며, 마을의 뒷배경

                      이자 주산인 설창산의 문장봉에서 산등성이가 뻗어내려 네줄기로 갈라진

                      등선과 골짜기가 물(勿)자형의 지세를 이루고 있다.

                      내곡, 물봉골, 거림 하촌의 4골짜기와 물봉 동산과 수졸당 뒷동산의

                      두 산등성이, 그리고 물봉골을 넘어 갈구덕으로 마을이 구성되어 있다.

   

                                관가정으로 오르려는 길 옆의 수백년 된 느티나무는 그 자태가 

                        아름답습니다.

 

 

                          관가정 대문은 10여계단을 올라서 있어 주변보다 높이 지어진 고택은

                        이름처럼 형산강과 주변을 훤히 바라볼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지난번에는 공사중이어서 발길을 돌렸는 데 오늘은 대문이 열려 있습니다.

 

 

                                안채로 들어기는 대문입니다.

 

                          관가정(觀稼亭, 보물 442호)

                          청백리로서 조선 성종(1469-1494)~중종(1506-1529)때 우재

                       손중돈(1463-1529) 선생이 손소공으로부터 분가하여 살던 집이다.

                       격식을 갖추어 간결하게 지은 우수한 주택건축이며 한 눈에 들어오는

                       형산강과 경주를 품어 안는 경관이 일품이다. 관가정(觀稼亭)이란

                       곡식이 자라는 모습을 보듯이 자손들이 커가는 모습을 본다는 뜻이다.

 

                         사랑채 옆의 향나무는 수백년은 된듯한 듯.... 창덕궁의

                       향나무는 700년이 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는데 이

                       나무도 수령이 그 정도 되면 천연기념물이 될런지...

 

                          관가정 사랑채.

 

                         뒷편에 있는 사당인데 문이 잠겨있어 담위로 촬영하였습니다.

 

                         서쪽에서 바라 본 향단. 

                  

 

                          향단(香壇, 보물 412호)

                          마을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화려한 지붕구조를 가진 "典"자형의

                       아름다운 건물로 회재 이언적(晦齎 李彦迪, 1491-553) 선생이 1543년경

                       에 경상감사로 부임할 때 중종 임금이 그의 모친의 병환을 돌볼수 있도록

                       배려해서 지어 준 집이다.

 

 

                         향단에 들어갈 수가 없어 전에 촬영해 주었던 사진으로 내부모습을 보여

                      계절과 맞지 않는 모습입니다.

 

 

                         향단에서 나와 마을 안쪽의 전경을 담아봅니다.

 

                         때가되면 수련과 연꽃으로 뒤덮힐 연못입니다. 주차공간을 위해

                      면적이 줄어든 것 같은데 향 후에는 초등학교 밖에 주차장을 두어

                      이 곳까지 차를 들어올 수 없게 한다는군요. 

 

                         돌로 쌓인 축대위에 토담, 그리고 고목나무가 어우러진 심수정.

 

                         심수정에서 바라본 맞은 편의 마믈모습.

 

                          멀리 관가정이 보이고, 나무 뒤로는 형단이 보이는데 전형적인 시골마을

                       의 평화로운 모습입니다. 시간이 허락한다면 일몰광경을 촬영해도 멋질 것

                       같아요.

 

                          양동마을에는 아름다운 자연 환경 속에 수백년 된 기와집과 나지막한 토담

                      으로 이어지며, 통감속편(국보 283), 무첨당(보물 411), 향단(보물, 412),

                      관가정(보물 442), 손소영정(보물 1216)을 비롯하여 서백당(중요민속

                      자료 23) 등 중요민속자료 12점과, 손소선생 분재기(경북유형문화재14)

                      등 도지정문화재 7점이 있습니다.

      

                                  위  치  :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 6

                                  문  의  : 054 -762 -4541  (관리사무소)                   

                                  홈페이지 : http://yangdong.invil.org/

 

                     가시는 길 :

                      * 자가용 : 중앙고속도로 금호분기점 → 경부고속도로 도동분기점 → 대구 →

                                   포항간 고속도로 대련IC → 28번국도 강동방면 → 양동리

                      * 열차편 : KTX  신경주역에서 양동마을에 오는 버스가 있으나, 운행 시간간격이

                                   길어 한 번 놓치면 다른 교통편을 이용해야함..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