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제주도여행

서귀포관광미항의 랜드마크인 새연교와 새섬

선 돌 2012. 2. 13. 17:30

 

 

 

 

                   서귀포관광미항의 랜드마크인 새연교와 새섬

 

                                                    

                           우린 세계3대 미항에 절대 뒤지지 않는 서귀포항의 관광미항

                           프로젝트의 랜드마크인 새연교와 새섬의 산책로를 걷기로 한다.

 

 

                          새섬으로 들어가기 전, 볼 수 있는 서귀포층 패류화석층은

                     거대한 폭발의 흔적이 차곡차곡 쌓인 것이라 합니다. 

 

                          서귀포 폐류화석층은 해안절벽을 따라 약 40m 두께로 나타나며,

                       현무암질 화산재 지층과 바다에서 쌓인 퇴적암질 지층으로 구성되

                       어있다. 서귀포층은 제주도 형성초기에 일어난 화산활동과 그로인

                       한 퇴적물들이 쌓여 생성된 퇴적층으로, 고기후 및 해수면 변동을

                       지시하는 고생물학적, 퇴적학적 특징들을 간직하고 있다. 이런한

                       석종의 다양성으로 서귀포층은1968년 천연기념물 제195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유람선에는 많은 관광객들도 몰려와 타고 있지만, 갈매기도 모여들어

                      던져주는 새우깡을 받아먹고 있습니다.
                                    

                           제주의 전통 배인 태우를 형상화한 새연교의 모습이 아름다워

                      여러 각도에서 셔터를 눌러봅니다. 

 

 

                         서귀포항 관광(미항:美港)의 랜드마크로서 대한민국 최남단에 위치한 보도교로

                      무인도인 새섬 해변의 절경을 즐기며 산책로를 걸을 수 있는 출발점 입니다.

  

                           제주도 서귀포항의 맞은 편에 위치하여 방파제 역할을 하는 새섬.

                        부근에 문섬,섭섬,범섬,시건도가 있는데, 옛날에 초가지붕을 덮을 때

                        쓰는 새(띠새)가 많이 자생하여 새섬이라 불린다. 무인도인 이 섬은

                        2009년에 새연교가 건설되어 산책로가 조성되었으며, 입구에는 

                        람선 선착장이 있어, 문섬 범섬의 바다속을 볼 수있는 잠수함을 탈

                       수 있는 옵션관광이 가능합니다.

 

                          작년 태풍 피해로 산책로의 위치가 일부 변경되어 사진에 보이는

                       범섬이 보이는 방향의 바위에는 갈 수가 없습니다.(그래도 들어가

                       있는 사람이 있어요)

 

                          범섬

                          한라산 정상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흡사 한 마리의 호랑이가 웅크리고

                     앉아있는 모습과 닮았다고 해서 '범 호(虎)' '섬 도(島)'자를 써서 호도(虎島)

                     또는 범섬이라고 불리는데, 상록 활엽수림 지대가 있어. 흑비둘기 서식지 및

                     상록 활엽수림 지대는 '제주도 지방 천연 기념물 제46호(1995. 8. 26)'로 지정

                     보호되고 있습니다.

                          범섬은 섬 자체가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몽고와 얽힌 역사의

                     유적지이기도 합니다

                          

 

                         문섬은 국내 최대의 연성산호 군락지로 빼어난 수중 생태계를 자랑하는 범섬과

                       함께 문섬,범성 해역( 천연기념물 제 421호) 을 이루고 있습니다.

 

                          서귀포항 남쪽 1.3㎞ 위치하며 서귀포항의 관문으로 등대가 있으며 도지정 문화재

                     기념물로 보호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연산호의 군락지로써 많은 스쿠버다이버들이

                     감탄을 자아내게 하는 곳입니다. 산호는 부유물이 없고 플랑크톤이 많은 곳에서만 서식

                     하는데 문섬앞바다는 수심40M까지 빛이 들어옵니다.  

 

                          유람선을 타고 나가 잠수함을 갈아타고 바다 속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문섬해역.(바다 건너 편에 배가 보임니다.)

 

                         범섬과 문섬을 바라보며 걷는 산책로.

  

                          만발한 유채꽃도 볼 수 있고,

  

  

                         빼어난 절경을 자랑하는 해안절벽도 있으며,

 

                         서귀포함 방파제 넘어 섭섬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섬에서

                      바라보는 섭섬은 방파제로 인해 별로 좋은 풍경은 아닙니다.

 

 

                             서귀포항 주변은 유람선을 타고, 문섬 범섬 섭섬 등의 해안절경을

                          가까이 접근해 보거나,  잠수함을 타고 바다속의 연산호 등의 오색영롱

                          함을 즐기는 관광이 별도의 테마인 것 같습니다. 그것을 보지 못하였으니

                          다음을 기약하며 아쉬움을 남깁니다.

 

                           위   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 1

 

                               

                                                   아래 추천버튼과 댓글한마디는 제겐 격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