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맛집) 보양식 추어탕 전문집 현풍추어탕 가을의 보양식이라는 추어탕 전문집, 현풍추어탕 비는 많이 내리고(7월3일), 낙동강 달성보현장을 둘러보고 점심 식사를 위해 근처의 추어탕집을 찾았다. 30년 전통을 자랑하는 이 집, 비슬산 산행시 다니던 길 옆이었다. 추어탕하면, 남원추어탕,원주추어탕,설악추어탕 등 몇몇 식당이 체인점 형태의 .. 카페와 맛집/경상남,북도 맛집 2011.07.25
(대구여행) 대구 시내의 휴식처 수성유원지 낮과 밤이 다른 수성유원지 대구시내에 있는 유원지로는 동촌유원지와 수성유원지가 주변환경이 비슷한 면이 있다. 동촌에는 금호강이 흐르고, 수성에는 수성못이 있어 물에서 즐기는 레저 또한 유사한 면이 있다. 물론 금호강은 흐르는 물이고 수성못은 그렇지 않을 것이기에 수질관리에 많은 노력.. 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2011.07.22
(태안맛집) 파도와 갈매기를 보며, 회를 즐기는 몽산포횟집 밀려오는 파도를 바라보며, 소주한 잔에 회 한점을 즐길 수 있는 몽산포 횟집 지난 6월 4일 비가 오던 토요일 태안 여행 중 들렀던 몽산포 횟집의 이야기입니다. 근처에서 잠을 잤기 때문에 아침식사까지 두끼를 한 집에서 해결했습니다. 식당앞에 도착하니 바로 앞에는 백사장이 펼쳐 있고 건너에는 .. 카페와 맛집/충청남,북도 맛집 2011.07.20
(대구여행) 대구 제일의 서문시장 있을것은 다 있구요. 있을 것은 다 있구요♪~♬ 없는 것은 없을 것 같은 서문시장! 대구광역시 최대의 재래시장이며, 대구장이라고 불리던 조선 시대부터 서울 시전, 평양장과 더불어 3대 시장으로 발전, 대구권의 중심 시장 역할을 하며, 6개 지구로 구성되어 지구 내에 4천 여개의 점포가 입주해 있으며, 주위에도 다양한.. 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전통시장,문전성시 2011.07.20
(태안여행) 40년의 삶의 향기가 배어있는 천리포수목원 푸른눈의 한국인이 신의 정원으로 가꾼 천리포 수목원 미국인 칼 밀러(Miller)로 태어났지만 한국인 민병갈(閔丙 )로 죽은 푸른눈의 민병갈(1921~2002)님이 1962년 매입한 천리포 해변의 2㏊ 부지를 모태로 하여, 1970년부터 수목원을 조성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부지를 확장해 40년동안 가꾸어 온 1만3천여.. 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충청남,북도여행 2011.07.19
[태안여행] 박과 낙지의 찰떡궁합, 박속밀국낙지탕의 이원식당 향토음식으로 이름난 태안의 박속밀국낙지 비와 땀으로 흠뻑 젖은 옷이지만 무사히 끝난 산행이 즐거워 하산주를 너무 먹었는지, 입안이 칼칼하고 텁텁하였다. 동료와 입가심을 위해 연포탕을 찾았으나, 너무 이른시간인지 문 연곳이 별로없어 오뎅탕으로 대신하며, 지난 달 태안에서 먹었던 박속 밀.. 카페와 맛집/충청남,북도 맛집 2011.07.18
(거제여행) 聖雄 이순신장군의 발자취,옥포대첩기념공원 이순신 장군의 그 발자취를 찾아가다. 지난 6월25일, 소매물도행 배를 타기위해 이른 아침, 대구를 출발하였으나, 태풍으로 인해 배가 운행중지 되었다고 하니 우선 들른 곳이 이순신 장군의 발자취가 있는 옥포대첩기념 공원이었다. 매년 이순신 장군의 제례행사가 열리며, 6월 16일을 전후하여 약 3일.. 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2011.07.17
(대구여행) 옻골마을의 경주최씨 종가 도심속 전통 한옥마을 옻골 경주최씨 종가 집을 나서니, 비가 억수처럼 쏟아진다. 그래도 멀지 않은 곳이니 윈도우 브라쉬가 숨가쁘게 움직여 시야을 터주는 대로 조심스레 동구 둔산동 옻골마을을 찾아간다. 얼마전 TV 드라마에 경주최씨를 주인공으로 하여 방영된 적이 있었다. 드라마 내용은 경주.. 풍경이 있는 국내여행/경상남,북도여행 2011.07.15
(대구맛집)젊음의 거리 동성로와 야끼우동을 찾아서 대구의 명동, 젊음의 동성로 대구역네거리에서 중앙파출소에 이르는 구간에 조성된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번화가의 명칭이다. 동성로1가~3가에 해당하며, 동성로1~2가가 성내1동, 동성로3가는 성내2동에 해당한다. 과거 대구읍성의 성곽이 있었으나, 1906년에 일본인의 상권 확보의 목적으로 친일 관료.. 카페와 맛집/경상남,북도 맛집 2011.07.13
(태안여행)이종일선생 생가 3·1운동의 민족대표 33인, 이 종일선생 기념물 제85호 (1990. 12. 31 지정) 이종일(李鍾一,1858~1925)선생의 호(號)는 옥파(沃坡) 또는 묵암(黙菴)이다. 선생은 민중계몽(民衆啓蒙)과 인재양성의 중요함을 깨닫고 흥화학교(興和學校)와 국문학교(國文學校)를 설립하고 1894년에는 보성보통학교(普成普通學校)의 .. 풍경이 있는 국내여행/충청남,북도여행 2011.07.13